빠르게 변하는 디지털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우리 서비스에 맞는 정보를 빠르고 바르게 파악해야 합니다. 에어브릿지는 원하는 데이터를 리포트에서 조회하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커스텀 메트릭

커스텀 메트릭으로 원하는 광고 성과를 에어브릿지 대시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메트릭은 2가지입니다. 커스텀 메트릭은 액츄얼스 리포트(Actuals Report)와 트렌드 리포트(Trend Report)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데이터로 메트릭 만들기

디지털 마케팅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수많은 광고 성과 지표가 등장했지만, 모든 지표를 확인할 수 없고 모든 지표가 필요하지도 않습니다.

에어브릿지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업로드한 데이터를 액츄얼스 리포트(Actuals Report)트렌드 리포트(Trend Repor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푸시 메시지 반응률이나 마케팅 이메일 클릭률과 같은 지표부터 KPI(핵심 성과 지표)까지 에어브릿지 SDK가 수집하지 않는 다양한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셀프서브 메트릭

에어브릿지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는 액츄얼스 리포트와 트렌드 리포트에서 셀프서브 메트릭을 선택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셀프서브 메트릭은 데이터를 업로드한 사용자가 새롭게 정의한 커스텀 메트릭입니다. 셀프서브 메트릭은 다른 에어브릿지의 메트릭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포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elf-01-kr.png

 

데이터 업로드

원하는 데이터를 에어브릿지 API 또는 셀프서브 데이터 업로드로 에어브릿지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CSV 파일 형식으로 업로드해야 합니다.

  • 에어브릿지에 셀프 서브 데이터 업로드하기(업데이트 예정)

업로드하는 데이터에는 날짜(Date), 채널(Channel), 이벤트 카테고리(Event Category), 그리고 값(Event Value)이 반드시 포함돼야 합니다. 여기서 이벤트 카테고리는 셀프서브 메트릭의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셀프서브 메트릭 이름은 변경할 수 없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업로드한 데이터는 에어브릿지 SDK에서 이미 수집하고 있는 데이터와 연동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스탠다드 이벤트와 같은 이름의 데이터를 업로드해도 스탠다드 이벤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대신 별도 셀프서브 메트릭이 스탠다드 이벤트와 같은 이름으로 정의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개발자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예시1) 앱 푸시 메시지

앱 푸시 메시지는 유저의 LTV(생애가치)를 가장 효과적으로 올릴 수 있는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입니다. 일자별로 앱 푸시 메시지를 보낸 횟수를 업로드하면 이 수치와 에어브릿지가 수집한 광고 캠페인 성과를 에어브릿지 대시보드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lf-02-kr.png

 

예시2) 앱 푸시 메시지 반응률

앱 푸시 마케팅 성과는 푸시 메시지를 받은 유저가 반응한 비율로 파악합니다. 에어브릿지에 푸시 메시지 반응률을 업로드하면 에어브릿지 대시보드에서 셀프서브 메트릭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을 활용해 에어브릿지에서 바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예시1)에서 업로드한 푸시 메시지 보낸 수를 에어브릿지가 수집한 클릭 수로 나눈다면 로우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다른 플랫폼에서 계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바로 푸시 메시지 반응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데이터 만들기

blockquote-note.svg

알립니다

이 기능은 에어브릿지 대시보드에서 설정할 수 없습니다. 에어브릿지 CSM에게 문의해 주세요.

에어브릿지에서는 메트릭과 숫자, 그리고 연산자로 새로운 커스텀 메트릭을 만들 수 있습니다. CPI, CPA와 같은 주요 마케팅 성과 지표를 메트릭으로 정의해 액츄얼스 리포트(Actuals Report)와 트렌드 리포트(Trend Repor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lf-03-kr.png

 

칼큘레이티드 메트릭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은 메트릭, 숫자, 그리고 연산자를 조합해 정의한 커스텀 메트릭입니다. 이 커스텀 메트릭은 항상 수식의 형태로 정의됩니다. 예를 들어 CPI(Cost Per Install)는 Cost(Channel)을 Installs(App)로 나눠서 정의한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입니다. 에어브릿지 대시보드에서는 칼큘레이티드 메트릭 툴팁에서 각 메트릭의 정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성요소 대상 예시
메트릭 스탠다드/커스텀 이벤트의 메트릭(카테고리), 셀프서브 메트릭 등 회원가입(App)
숫자 실수 -10, 3.14, 1000
연산자 사칙연산과 소괄호 +, −, ÷, ×, (, )
blockquote-check.svg

칼큘레이티드 메트릭 정의하기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은 에어브릿지 CSM을 통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의 방법은 에어브릿지 CSM에게 문의해 주세요.

 

활용 예시

필요한 광고 성과 지표를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으로 정의하면 추가 작업 없이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지표도 에어브릿지 대시보드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셀프서브 메트릭을 사용하면 서비스에 최적화된 메트릭을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정의한 메트릭은 액츄얼스 리포트와 트렌드 리포트에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1) CTR

CTR은 광고를 클릭하는 빈도를 나타낸 비율(%)입니다. 특정 키워드나 소재와 관련된 광고에서 CTR이 높으면 유저와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와 소재를 선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TR은 광고를 클릭한 횟수를 광고 노출 횟수로 나눈 뒤에 100을 곱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클릭 횟수가 10회, 노출 횟수가 100회면 CTR은 10(%)입니다.

아래와 같이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을 정의하면 에어브릿지 리포트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icks와 Impressions는 에어브릿지가 기존에 제공하는 메트릭입니다.

  • CTR = Clicks / Impressions * 100

self-04-kr.png

 

예시2) 자체 성과 지표

기업이 자체적으로 설정한 성과 지표를 셀프서브 메트릭과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을 통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상의 A기업이 여러 온드 미디어의 마케팅 성과에 관한 자체 성과 지표를 아래와 같이 정의했습니다.

  • A기업의 자체 성과 지표 = 블로그 방문자 수(20%), 소셜미디어 관련 태그 수(30%), 그리고 동영상 플랫폼 조회 수(50%)에 가중치를 적용해 더한 수치

이 자체 성과 지표를 에어브릿지에서 보기 위해서는 먼저 에어브릿지에서 수집하지 않는 데이터인 블로그 방문자 수, 소셜미디어 관련 태그 수, 동영상 플랫폼 조회 수를 업로드해서 셀프서브 메트릭을 새롭게 정의해야 합니다. 각 데이터에 관한 셀프서브 메트릭은 아래와 같이 이름을 붙였습니다.

  • 블로그 방문자 수 = Blog
  • 소셜미디어 관련 태그 수 = Social
  • 동영상 플랫폼 조회 수 = Video

다음은 A기업의 자체 성과 지표 정의에 따라 셀프서브 메트릭을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으로 정의하면 됩니다. 칼큘레이티드 메트릭 정의에는 메트릭, 연산자 외에 실수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2개의 메트릭이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결과값을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합니다.

  • A기업의 자체 성과 지표 = OwnedMedia = (Blog × 20) ÷ 100 + (Social × 30)÷100 + (Video × 50) ÷ 100

A기업은 에어브릿지 리포트에서 OwnedMedia라는 메트릭을 선택하면 자체적으로 정의한 온드 미디어 성과를 다른 광고 성과 지표와 함께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에어브릿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해 더 복잡한 지표를 추가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만약 A기업이 매출을 자체 성과 지표로 나눈 값을 지표로 새로 정의한다면 에어브릿지 스탠다드 이벤트의 메트릭인 매출액 (App)를 사용하면 됩니다.

  • OpO(OrderCompleted per OwnedMedia) = 매출액 (App) / OwnedMedia

칼큘레이티드 메트릭을 정의하는 수식은 액츄얼스 리포트나 트렌드 리포트의 메트릭을 선택하는 툴팁에서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메트릭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