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텐션 리포트

    Jeongwon KimWritten by Jeongwon Kim,

    리텐션 리포트(Retention Report)는 유저가 얼마나 자주 서비스로 돌아왔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통계 리포트입니다. 에어브릿지 사용자는 리텐션 리포트에서 특정 이벤트를 기준으로 설치 또는 딥링크로 유입된 유저의 일자별(Day N) 서비스 사용 빈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집계된 리텐션 성과는 광고 캠페인 최적화 등에 활용해 보세요.

     

     

    리포트 설정하기

    코호트, 주기와 조회 기간, 스타트 이벤트와 리턴 이벤트, 그룹바이와 필터를 설정하면 리텐션 리포트(Retention Report)에서 원하는 결과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코호트

    코호트는 리텐션 리포트에서 분석하려는 유저 집단입니다. 에어브릿지 사용자는 코호트 조건을 설정해 리텐션 리포트에서 분석하려는 유저를 세밀하게 정할 수 있습니다. 코호트를 설정하지 않으면 리텐션 리포트는 전체 유저를 대상으로 리포트 결과를 집계합니다.

    코호트 조건을 활용하면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만을 리텐션 리포트의 분석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리텐션 리포트의 코호트에서 ‘추가’를 클릭하면 코호트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기와 조회 기간

    리텐션 리포트에서 주기와 조회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기는 잔존율과 잔존 수치를 집계하는 기간 단위입니다. 조회 기간은 리포트를 조회하는 기간입니다.

    주기 설정하기

    리텐션 리포트에서 분석할 유저의 잔존율과 잔존 수치를 설정한 주기에 따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주기를 일별, 주별, 월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리텐션 리포트의 조회 결과는 조회 기간을 설정한 주기로 나누어 여러 구간으로 제공됩니다. 제공되는 최대 구간 개수는 주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최대 구간에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는 리텐션 리포트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주기별 구간을 나누는 기준은 앱 타임존을 따릅니다.

    주기별로 리텐션 리포트에서 제공하는 구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별: 각 구간은 앱 타임존 기준 하루(24시간)입니다. 리텐션 리포트에서 제공하는 최대 구간 개수는 31개 (Day 0 ~ Day 30)입니다.

    • 주별: 기간 설정을 할 때 지정한 주 시작 요일이 기준입니다. 리텐션 리포트에서 제공하는 최대 구간 개수는 12개 (Week 0 ~ Week 11)입니다.

    • 월별: 각 달이 기준입니다. 리텐션 리포트에서 제공하는 최대 구간 개수는 3개 (Month 0 ~ Month 2)입니다.

    주기

    기준

    최대 구간 개수

    일별

    하루(24시간)

    31개 (Day 0 ~ Day 30)

    주별

    설정한 주 시작 요일

    12개 (Week 0 ~ Week 11)

    월별

    각 달

    3개 (Month 0 ~ Month 2)

    조회 기간 설정하기

    리텐션 리포트에서 설정된 조회 기간에 앱으로 유입된 유저의 잔존율과 잔존 수치를 주기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기간 조건과 날짜를 선택하면 조회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조회일을 포함해 최대 175일 이전 데이터를 리텐션 리포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설정할 수 있는 최대 조회 기간은 주기별로 각 31일, 12주, 3개월입니다.

    조회 기간에서 선택할 수 있는 기간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타트 이벤트와 리턴 이벤트

    리텐션 리포트는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의 리턴 이벤트 실행 여부로 잔존율과 잔존 수치를 집계합니다. 아래 각 이벤트에 대한 설명을 참고해 주세요.

    지원하는 이벤트 종류

    리텐션 리포트는 앱 이벤트에 관해서만 성과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앱 이벤트는 메트릭 이름에 (App)이 있는 메트릭입니다.

    현재 리텐션 리포트는 웹 또는 SKAdNetwork(SKAN)에서 수집된 이벤트에 대한 성과 분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스타트 이벤트

    스타트 이벤트는 설정한 기간에 유저가 앱에 유입한 이벤트입니다.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하지 않은 유저는 리텐션 리포트의 분석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리텐션 리포트에서 설정할 수 있는 스타트 이벤트는 Install (App) 또는 Deeplink Open (App)입니다. 두 이벤트 중 1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 이벤트로 Install (App)을 선택하면 앱을 설치한 유저의 잔존율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리턴 이벤트

    리턴 이벤트는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의 잔존(Retention)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이벤트입니다. 유저가 리턴 이벤트를 실행하면 리텐션 리포트는 해당 유저가 서비스를 다시 이용했다고 판단합니다. 유저가 리턴 이벤트를 실행하지 않으면 잔존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합니다.

    리턴 이벤트로 선택할 수 있는 이벤트는 스탠다드 이벤트 또는 1번 이상 수집된 커스텀 이벤트입니다. Any Event (App)를 리턴 이벤트로 선택하면 이벤트 종류와 관계 없이 이벤트를 다시 발생시킨 모든 유저의 잔존율과 잔존 수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리턴 이벤트로 여러 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턴 이벤트로 장바구니 담기와 조회 이벤트를 선택하면 유저가 관심있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거나 검색해야 잔존율과 잔존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저먼트 옵션

    메저먼트 옵션(Measurement Option)은 리턴 이벤트를 측정하는 스타트 이벤트 개수를 결정하는 기능입니다. 유저 여정에서 스타트 이벤트가 여러 번 발생한다면 매저먼트 옵션에 따라 잔존율이 변할 수 있습니다.

    메저먼트 옵션에는 General과 Confined가 있습니다. General은 설정한 조회 기간 동안 모든 스타트 이벤트를 기준으로 리턴 이벤트를 집계해 잔존율과 잔존 수치를 측정하는 옵션입니다. Confined를 선택하면 하나의 스타트 이벤트로 잔존율을 측정합니다. Confined에서는 새로운 스타트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전 스타트 이벤트의 잔존율을 더는 측정하지 않습니다.

    메저먼트 옵션은 에어브릿지 디바이스 ID를 기준으로 같은 유저인지 판단합니다.

    메저먼트 옵션에 대한 예시를 참고해 주세요.

    예시) 메저먼트 옵션에 따른 리텐션 리포트 결과 차이

    한 유저가 3월 1일에 A 채널의 광고로 앱을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인 3월 2일에 앱을 실행한 후에 앱을 바로 삭제했습니다. 이 유저는 3월 3일에 B 채널의 광고를 보고 다시 앱을 설치했습니다. 2일 뒤인 3월 5일 앱을 실행했습니다.

    리텐션 리포트를 아래 설정으로 조회했습니다.

    • 분석 기간: 3/1 ~ 3/5

    • 스타트 이벤트: Install (App)

    • 리턴 이벤트: Any Event (App)

    • 그룹바이: Channel

    메저먼트 옵션에 따라 리텐션 리포트 결과가 아래와 같이 다를 수 있습니다.

    3월 5일에 앱을 실행한 이벤트는 동일한 에어브릿지 디바이스 ID를 가진 유저가 실행했기 때문에 A 채널과 B 채널의 유저 여정에서 모두 측정됩니다.

    • 3월 1일 A 채널의 광고를 보고 앱을 실행한 이벤트는 Day 4 리텐션으로 측정됩니다

    • 3월 3일 B 채널의 광고를 보고 앱을 실행한 이벤트는 Day 2 리텐션으로 측정됩니다. Day 2 리텐션은 3월 3일 기준이기 때문에 3월 5일의 잔존율입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채널

    날짜

    총 설치 수

    Day 0

    Day 1

    Day 2

    Day 3

    Day 4

    A 채널

    3/1

    1

    1

    1

    1

    0

    1

     

    3/2

    0

    0

    0

    0

    0

     

     

    3/3

    0

    0

    0

    0

     

     

     

    3/4

    0

    0

    0

     

     

     

     

    3/5

    0

    0

     

     

     

     

    B 채널

    3/1

    0

    0

    0

    0

    0

    0

     

    3/2

    0

    0

    0

    0

    0

     

     

    3/3

    1

    1

    0

    1

     

     

     

    3/4

    0

    0

     

     

     

     

     

    3/5

    0

     

     

     

     

     

     

     

    그룹바이와 필터

    그룹바이는 리텐션 리포트로 조회할 메트릭의 수치를 나누는 기준입니다. 그룹바이를 설정해 유저가 유입된 채널, OS 등 특정 기준으로 메트릭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리텐션 리포트에서 선택할 수 있는 그룹바이 개수는 최대 4개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그룹바이 종류는 에어브릿지 가이드를 참고해 주세요.

    선택한 그룹바이 중에서 특정 그룹바이에 필터를 설정해 해당하는 데이터만 리텐션 리포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룹바이로 채널을 설정했다면 필터로 특정 채널을 지정해 해당 채널에서 발생한 이벤트만 대상으로 리텐션 리포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에어브릿지에서 1번 이상 수집된 메트릭만 필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메트릭이 존재하더라도 해당 메트릭으로 데이터가 1번 이상 수집되지 않았다면 필터로 확인할 수 없습니다.

    주의하세요

    그룹바이와 필터 설정은 조회 기간에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에만 적용됩니다.

     

     

    리포트 조회하기

    리텐션 리포트(Retention Report)를 설정하면 분석 기간 동안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의 리턴 이벤트 실행 여부를 테이블에서 일자별(Day N) 잔존율과 잔존 수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잔존율과 잔존 수치

    리텐션 리포트의 조회 결과는 테이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의 각 칸에는 일자별(Day N) 잔존율과 잔존 수치가 있습니다.

    잔존율과 잔존 수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테이블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하면 날짜 단위로 잔존율과 잔존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릭된 버튼의 모양은 ‘⌵’로 바뀝니다.

    기본 지원 기능

    리텐션 리포트를 포함해 에어브릿지 리포트는 리포트 설정을 저장하거나 리포트를 조회한 결과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가 도움이 되었나요?

    추가, 수정하면 좋을 내용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