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g Time Report는 광고 클릭이 발생한 시점부터 앱 설치(최초 실행) 시점까지의 시간 분포를 나타내는 리포트입니다. Click Injection 또는 Click Spamming 등의 현상이 발생할 경우 Lag Time 그래프가 일반적인 형태와 다른 모습을 보이며, 이에 따라 Lag Time Report를 통해 Fraud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리포트 설정

Lag Time Report는 시간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 영역과 데이터를 확인하는 테이블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LagTime_1.png

좌측 상단 [ 설정 ] 을 통해 하단에 있는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원하는 기준대로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 조회 구간을 설정하여 특정 기간의 Lag Time 데이터만 조회 가능합니다.

 

 

그래프 확인

LagTime_2.gif

그래프 각 구간에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여, 해당 구간에 속하는 채널별 설치 수와 비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채널 선택 영역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택, 제외할 수 있습니다.

LagTime_3.gif

시간 분포는 기본적으로 5초마다 구간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구간을 더 길게 보고 싶은 경우, 우측 상단의 인터벌 메뉴를 클릭하여 5초 / 1분 / 1시간 / 1일 중에서 선택 가능합니다. 특정 구간의 데이터를 자세히 확인하고 싶은 경우, 세부 구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Lag Time 벤치마크

Lag Time 벤치마크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Google-Play)의 오가닉 CTIT(앱 설치 버튼 클릭에서 앱 최초 실행까지의 시간) 데이터로, Lag Time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참고 할 수 있습니다.

LagTime_4.png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설치 버튼 클릭’과 ‘설치(최초 실행)’ 사이 Lag Time의 최소값 / 최빈값 / 중간값을 확인해보고 이를 기반으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