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백 설정

포스트백은 앱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 및 기여 결과를 Integrated Channels에 제공하여 특정 채널의 광고 캠페인을 최적화하거나 광고비를 정산하는데 사용되며, 관련 기능은 사내 계정(오너, 사내 마케터) 권한을 가진 계정에서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포스트백 설정은 일반 연동 채널에서만 설정 가능하며, SAN(Self-attributing Network) 채널 (Google Ads, Facebook, Apple Search Ads 등) 및 네이버 채널(네이버 성과형 디스플레이 채널 제외)은 포스트백 설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다만, Google Ads의 경우 모든 이벤트를 자동으로 포스트백으로 발송하고 있으며, 자세한 것은 Google Ads의 가이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외의 채널들에 대한 광고 운영은 별도 가이드를 참고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포스트백 전송 가능 이벤트

에어브릿지는 다음과 같은 이벤트를 포스트백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포스트백으로 전송 가능한 이벤트 종류는 채널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 설치

  • 실행

  • 딥링크 실행

  • 인앱이벤트

  • 커스텀 이벤트

blockquote-check.svg

커스텀 이벤트 포스트백 전송

커스텀 이벤트를 포스트백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캠페인 시작 전 광고 채널과 추가 연동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사전에 반드시 담당 CSM 또는 Platform Team으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채널 포스트백 설정

채널 단위 포스트백은 [Integrations > Integrated channels > 채널 선택 > 포스트백]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각 채널의 포스트백 설정은 기본적으로 '미연동' 상태로 되어 있습니다.

blobid0.png

특정 채널에 대해 포스트백 전송을 시작하기 위해, [설정] 버튼을 누르면 세부 설정을 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blobid6.png

[전송할 이벤트 선택]에서는 포스트백으로 전송할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Basic: 설치, 실행, 딥링크 실행 이벤트 설정

  • In-app: 기본 인앱 이벤트 + 커스텀 이벤트 설정

Apr-23-2021_15-50-08.gif

[전송 규칙]에서 설정 가능한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Attributed to:

    • 이 채널에 기여가 인정된 이벤트만 전송: 해당 채널에 기여된 이벤트만 포스트백을 전송합니다.

    • 채널 기여와 상관없이 모든 이벤트 전송: 채널의 기여 여부와 상관 없이 모든 이벤트의 포스트백을 전송합니다. 주로 Re-engagement 캠페인을 운영할 때 활용합니다.

  • First only:

    • 신규 이벤트만 발송: 처음 발생한 이벤트만 포스트백을 전송합니다. 재이벤트는 전송하지 않습니다.

    • 발생한 모든 이벤트 전송: 신규 이벤트와 더불어 재이벤트도 포함하여 포스트백을 전송합니다.

모든 포스트백 규칙을 설정했다면 '저장' 버튼을 눌러 완료합니다.  

blockquote-check.svg

신규/재이벤트 구분 기준

에어브릿지에서는 디바이스의 ADID(GAID/IDFA)를 기준으로 신규/재이벤트를 구분합니다. 동일한 디바이스라도 ADID를 재설정했다면, 신규 이벤트로 인식됩니다. 채널 기여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매체채널로 보내기 위해서는 올포스트백 설정이 필요합니다.

화면 우측 상단에 위치한 '전송 시작' 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클릭한 시점 이후로 발생한 이벤트들이 해당 채널로 포스트백 전송됩니다. 

blobid1.png

 

 

올포스트백 설정(All-Postback)

올포스트백(All-postback)이란, 광고 매체의 기여 여부와 상관없이 광고주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포스트백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앱 설치 이벤트에 대해 올포스트백을 설정한다면, 광고주의 서비스에서 발생한 모든 앱 설치 이벤트를 매체에게 포스트백으로 발송합니다. 이는 타 채널에 기여되거나 자연유입으로 발생한 이벤트 포함합니다.

리타겟팅 광고에서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전환 이벤트를 수행하도록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자 그룹을 세분화하고, 사용자의 이벤트 성과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타겟팅 매체에서는 타겟하는 사용자 그룹을 만들고, 캠페인 최적화를 하기 위해 이벤트의 기여 여부와 상관없이 많은 양의 이벤트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이때 대시보드에서 올포스트백 설정을 하여, 모든 데이터가 포스트백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습니다.

blobid2.png

  1. 대시보드의 [Integrations - Integrated Ad Channels]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포스트백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2. [전송규칙] 탭을 누르고 [채널 기여와 상관없이 모든 이벤트 전송] 과 [발생한 모든 이벤트 전송] 항목 오른쪽 톱니바퀴 모양 버튼을 클릭하여 올포스트백을 전송할 이벤트를 선택합니다.

올포스트백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채널 기여와 상관없이 모든 이벤트 전송][발생한 모든 이벤트 전송] 항목에 모두 해당 이벤트를 포함시켜야 합니다. 올포스트백으로 선택 된 이벤트는 기여 여부와 상관 없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설정한 채널로 포스트백이 전송됩니다.

 

 

포스트백 연동 정보 등록

사전에 연동된 매체 중 일부 매체는 광고를 운영하기 전, 포스트백 연동 정보를 등록해야 합니다. 대시보드 등 해당 매체에서 발급한 포스트백 연동 키 값을 에어브릿지에 입력하면 연동이 이루어집니다. 연동 이후에는 에어브릿지가 해당 매체에게 광고 성과에 관한 포스트백을 전송합니다. 포스트백 연동 정보 등록이 필요함에도 정보를 등록하지 않고 포스트백을 전송하면 해당 매체에서의 광고 성과 확인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포스트백 연동 정보 등록이 필요한 매체와 매체별 연동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동을 희망하는 매체의 연동 방법이 별도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매체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 카카오모먼트(kakao, 연동 방법)
  • 네이버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naver.performance_da, 연동 방법)
  • 틱톡(tiktok, 연동 방법)
  • 와이더플래닛(widerplanet)
  • 화웨이 애드(Huawei Ads)
  • 데이터리프트360(datalift360)
  • 모비온(mobon)
  • 유애피(youappi)
  • 탭티카(taptica)

매체로부터 발급받은 포스트백 연동 키 값은 [Integrations]>[Integrated Ad Channels]에서 [포스트백] 탭의 [연동 정보] 탭으로 들어가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

550_postbackintegrations_KR_jw_01.png

blockquote-check.svg

연동 정보 탭 노출 기준

[연동 정보] 탭은 해당 설정이 필요한 매체에서만 노출되며, 해당 탭이 노출되지 않는 매체는 광고를 운영할 때 포스트백 연동 정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포스트백 URL 설정

[포스트백 URL] 탭에서는 에어브릿지와 매체 사이에 포스트백 연동이 설정된 이벤트 목록과 이벤트별 포스트백 UR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너 혹은 마케터 권한을 가진 계정이라면 기존에 설정된 포스트백 URL을 수정하거나 신규 포스트백 URL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에이전시(대행사)와 미디어 파트너 권한의 계정에서는 포스트백 URL을 조회만 할 수 있습니다.

blockquote-caution.svg

주의하세요

포스트백은 광고비 정산 및 캠페인 최적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만약 기존 포스트백 URL 수정 혹은 신규 포스트백 URL 추가를 원한다면 반드시 포스트백이 전송되는 해당 매체 측과 논의해야 합니다. 또한, 커스텀 이벤트를 포스트백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캠페인을 시작하기 전에 매체 측과 추가 연동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포스트백 작업에 앞서 담당 CSM 또는 Platform Team으로 문의 바랍니다.

 

기존 포스트백 URL 수정하기

포스트백 URL 탭에서 수정이 필요한 이벤트의 오른쪽 끝에 있는 Edit 버튼을 누릅니다. 
blobid4.png

 

포스트백 수정 페이지에서 수정이 필요한 필드를 수정합니다. 
postback-01-kr_1_.png

  • Event Identifier (Channel): 매체 측에서 포스트백 수신 시 이벤트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값으로, 동일한 이벤트라고 하더라도 매체사마다 정의하는 값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설정된 Event Identifier를 수정하려는 경우 반드시 매체 측 담당자와의 사전 논의가 필요합니다.
    예) Sign Up 이벤트에 대한 포스트백 전송 시 A 매체에서는 Event Identifier로 'signup'를 사용하고, B 매체에서는 'userSignUp'를 사용
  • URL Setting: 포스트백 URL 내 기존 파라미터(key, value)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파라미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모든 수정이 끝나면 저장을 눌러 수정을 완료합니다. 수정된 포스트백 URL은 수정이 완료된 시점부터 반영됩니다.

blockquote-caution.svg

주의하세요

Event Identifier 및 파라미터의 Key 값은 매체마다 다른 값을 사용하므로 반드시 수정 전에 매체 측과 확인이 필요합니다. 파라미터의 Value 값은 에어브릿지에서 지원하는 매크로 또는 매체 측에서 지원하는 고정값으로만 설정이 가능합니다.

 

 

신규 포스트백 URL 생성하기

  1. [포스트백 URL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blobid5.png

  2. [이벤트 선택] 페이지에서 포스트백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이벤트를 선택 후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동일한 포맷의 포스트백URL을 사용할 복수 개의 이벤트 선택 가능)
    blobid4.png
  3. 아래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신규 포스트백 URL을 생성합니다.
    • 기존 URL 불러오기 (권장)
      사전에 포스트백 연동이 완료된 이벤트의 포스트백 URL을 불러와 연동하는 방법으로, 보다 간단하게 신규 포스트백 URL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매체 측과 사전 논의 후 어떤 이벤트의 포스트백 URL을 불러와야할지 확인 후 설정하시길 권장합니다.
    • 포스트백 URL 및 Key, Value 필드 직접 입력하기
      사전에 포스트백 연동이 완료된 이벤트의 포스트백 URL을 활용할 수 없는 경우, 포스트백 URL을 직접 입력하여 신규 포스트백 URL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매체 측과 사전 논의 후 매체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포스트백 URL을 Copy & Paste하시길 권장합니다.

      blobid6.png

기타 포스트백 URL 설정 기능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담당 CSM 또는 Platform Team으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포스트백 설정 대시보드

blobid6.png

포스트백 설정 대시보드 첫 화면에서는 전체 이벤트 리스트 및 각 이벤트의 설정현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Event (Airbridge): 이벤트 이름 
  • Event Identifier (Channel): 포스트백 발송 시, 실제로 매체에 전달되는 이벤트명입니다. 매체가 이벤트 이름을 정의한 경우 맵핑된 이름이 사용되며, 정의하지 않은 경우 에어브릿지가 정의한 이름이 사용됩니다.
  • Attributed to: 기여 여부에 따른 전송규칙 항목입니다. This channel only / All Channels 항목이 표기됩니다.
  • First Only: 이벤트 발생 시점에 따른 전송규칙 항목입니다. First only / All events 항목이 표기됩니다.
  • Status: Event별로 포스트백 전송 설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채널 단위의 기여기간 설정

서비스 전체에 적용되는 기본 기여기간 외에 추가로 채널 단위의 기여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운영하고자 하는 채널의 특징에 따라 해당 채널만의 기여기간 설정이 필요한 경우 활용할 수 있으며 [Integrations > Integrated Ad Channels > 매체명 > 채널 기여기간 설정] 메뉴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자세한 설정 방법은 본 가이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