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사용하는 인크리멘탈리티 리포트

    알립니다

    이 기능은 베타 서비스입니다. 인크리멘탈리티 리포트(Incrementality Report) 사용을 원하는 고객사는 에어브릿지 CSM에게 문의해 주세요.

    인크리멘탈리티 리포트(Incrementality Report) 도입을 검토하고 있거나 이미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시나리오를 참고해 주세요. 인크리멘탈리티 리포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근 3주 동안 발생한 앱 설치 수 분석하기

    새로운 학기를 맞아서 학습 관련 앱을 홍보하는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광고를 집행한 주요 채널 중 이미지 광고 중심의 채널 A와 검색 광고 중심의 채널 B로 발생한 앱 설치 수를 비교하려고 합니다.

    이미지 광고는 주로 초기 유저 여정(User Journey)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광고 성과를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검색 광고로 인한 터치포인트는 뚜렷한 관심과 목적을 가진 유저가 타겟이기 때문에 주로 전환 직전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검색 광고는 상대적으로 광고 성과를 쉽게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인크리멘탈리티 리포트(Incrementality Report)로 다른 형태의 광고에서 발생한 성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려고 합니다. 상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분석 기간: 2월 3주차~2월 4주차(2주)

    • 캠페인 목표: 앱 설치

    • 광고 집행 채널: 이미지 광고 채널 A, 검색 광고 채널 B

    • 성과 측정 지표: 앱 설치 수

    노출 중심 광고로 발생한 구매당 비용 분석하기

    여름을 맞이해서 6월부터 여가 관련 앱에서 모든 상품을 할인 판매하는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시즌에는 새롭게 숏폼 형태의 광고 소재로 뷰스루(View-through) 캠페인을 진행하기 위해 광고 비용을 썼습니다.

    숏폼은 불특정 다수에게 상품을 효과적으로 노출할 수 있는 콘텐츠 포맷입니다. 하지만 빠른 콘텐츠 소비 패턴을 고려하면 숏폼은 구매 전환으로 곧바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낮고 광고 성과를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인크리멘탈리티 리포트(Incrementality Report)로 숏폼이라는 포맷이 가진 독특한 특성을 고려해서 여러 채널의 7월 광고 성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려고 합니다. 상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분석 기간: 7월 1일 ~ 7월 31일(1달)

    • 캠페인 목표: 상품 구매

    • 주요 광고 소재: 15초 이하의 짧은 영상

    • 성과 측정 지표: CPP(Cost per Purchase, 구매당 비용)

    글로벌에서 발생한 구매액에 대한 ROAS 분석하기

    옷을 판매하는 패션 관련 앱에서 블랙 프라이데이 주간에 할인하는 상품이 매일 달라지는 24시간 타임어택 컨셉의 광고 캠페인을 집중적으로 진행했습니다. 올해는 기존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G 국가의 광고 채널 6개에 광고 비용을 투입했습니다.

    그런데 G 국가 유저는 한국 유저보다 훨씬 많은 광고를 보고 별도로 자사몰에 방문해서 신중하게 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유저 여정 초반에 인지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 광고 채널은 한국보다 더 광고 성과를 인정받기 어려웠습니다.

    인크리멘탈리티 리포트(Incrementality Report)로 한국 유저와 G 국가 유저의 구매 패턴을 고려해서 6개 채널의 광고 성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려고 합니다. 상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분석 기간: 11월 21일 ~ 11월 27일(7일)

    • 캠페인 목표: 상품 구매

    • 광고 집행 채널: G 국가의 광고 채널 6개(채널 A, 채널 B, 채널 C, 채널 D, 채널 E, 채널 F)

    • 성과 측정 지표: ROAS

    도움이 되었나요?

    더 필요한 내용이 있나요?